척추질환 예방 ‘걷기’가 최고
‘척추관협착증’은 50대 이후 노년층을 괴롭히는 대표적인 질환 중 하나다. 척추관이 노화로 인해 좁아지면서 신경들이 눌려 생긴다. 척추 뒤쪽의 빈 공간인 척추관은 몸 속 신경이 지나가는 통로다. 나이가 들면 척추관을 둘러싼 척추 마디가 굵어지거나 인대가 두꺼워져 척추관이 좁아지는 퇴행 현상이 일어난다. 이로 인해 척추관 속 신경들이 눌려 엉덩이나 다리에 통증 및 저림 현상이 나타나게 된다.
척추관협착증은 허리에 통증이 있으면서 다리가 저리고 아프기 때문에 곧잘 허리 디스크(추간판탈출증)로 오인하기도 한다. 그러나 허리 디스크는 척추를 구성하는 물렁뼈가 원래 위치에서 튀어나와 척추관을 지나가는 신경을 건드려, 지속적인 하지 통증을 유발하는 질환이다. 허리를 앞으로 굽히거나 앉아 있을 때 통증이 심하고, 누워서 다리를 들어올리지 못할 정도로 아프다. 신경을 건드린다는 점에서 척추관협착증과 비슷하지만 허리 디스크는 뼈에 변화가 온 것이 아니기 때문에 물리치료를 하거나 관리만 잘해주면 증상이 호전된다.
반면 척추관협착증은 서 있거나 길을 걸을 때 통증과 저림 현상이 심하다. 허리를 굽히거나 쪼그리고 앉으면 천천히 통증이 완화된다. 이 때문에 흔히 말하는 ‘꼬부랑 할머니’ 증상이 생기는 것이다. 무엇보다 장기간에 걸쳐 굵어진 뼈마디가 척추관을 지나가는 신경을 압박해 둔부와 다리 전체에 심한 통증이 나타나는 것이어서 물리치료만으로는 낫기 힘들다.
척추관협착증 현미경 수술로 완치
경기도 안양 척추디스크전문 나은병원의 공병준 원장은 “50세 이상의 남녀가 허리와 다리 통증을 호소한다면 노화에 의한 척추관협착증을 의심해볼 수 있다”며 “조기에 발견하면 약물치료가 가능하지만, 말기환자의 경우 수술 외에는 다른 치료 방법이 없다”고 말했다.
그러나 척추관협착증으로 괴로워하는 환자들은 대부분 50세 이상 고령자여서 수술 자체에 대한 거부감이나 두려움을 보이곤 한다. 디스크 수술이라고 하면 피부 절개에 따른 수술 후 통증이나 후유증을 먼저 떠올리기 때문이다.
최근 시행되고 있는 ‘미세 현미경 감압 수술’은 이런 불안감을 해소하고 척추질환을 근본적으로 치유할 수 있는 시술법이다. 공 원장은 “고령층의 신체적 특성에 맞춘 수술법으로 체력 부담이 적다. 당뇨나 고혈압 같은 합병증이 있어도 수술이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미세 현미경 감압 수술은 척추의 뒷부분을 2㎝ 정도 절개해 고배율의 미세 현미경을 보면서 손상된 부위만을 선별적으로 제거하기 때문에 척추에 무리를 주지 않는다. 수술하는 데 보통 1~2시간 정도 소요된다.
특히 절개 부위가 극히 작아 수술 흉터가 거의 남지 않는다.
근육이나 인대, 척추 관절 손상도 최소화하기 때문에 수술 후 통증이 없고, 회복기간도 비교적 빠르다.
수술 후 3~4시간 뒤면 걷기 시작할 수 있다. 5~6일 후에는 퇴원해서 일상생활에 복귀할 수도 있다. 수혈이 필요 없어 그로 인한 부작용도 예방할 수 있다.
특히 정밀 현미경을 통해 수술 시야를 극대화할 수 있어 환부를 자세하게 확인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병소 제거 시 신경 및 신경을 보호하는 지방 조직 손상이 거의 없고, 수술 후 신경근 유착도 막을 수 있다. 수술 성공률이 높을뿐더러 후유증과 합병증도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이다.
공 원장은 “여러 장점을 지닌 이 시술법은 현재 95% 이상의 성공률을 보이고 있다”며 “척추질환으로 고생하면서도 수술에 대한 공포감이나 수술 후 합병증, 긴 회복기간 등 여러 문제점 때문에 수술을 꺼렸던 환자들에게 좋은 치료법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매일경제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