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년 7월 31일 화요일

허리 아프다고 무조건 디스크?

허리 아프다고 무조건 디스크?


50대 후반의 주부 김모씨는 몇 년째 심한 요통으로 똑바로 눕지 못하고 허리를 펼 때마다 다리가 저린 증상에 시달려왔다. 최근에는 허리에서 다리 쪽으로 뻗치는 통증에 밤마다 잠을 못 이룰 정도였다. 디스크인가 싶어 병원에서 진료도 받아보고 X-레이 검사도 여러 번 했지만,

그때마다 아무 이상이 없다는 말만 되풀이 들었다. 그나마 좀 쉬면 나아졌다가 다시 심해지기를 1년, 신경성 노이로제로 치부하고 진통제만으로 버텨오다가 대학병원 척추센터를 방문하여 검사를 받은 결과 ‘척추관협착증’이라는 진단을 받았다.

척추관협착증은 흔히 ‘디스크’로 알려져 있는 추간판탈출증보다 환자가 결코 적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아직도 일반인들 중에는 ‘허리가 아프면 무조건 디스크’라고 잘못 알고 있는 경우가 허다하다. 특히 갈수록 노인인구가 늘어나는 고령화 사회에서 대표적인 노인성 질환 중 하나인 척추관협착증에 대한 보다 많은 관심과 주의가 필요할 때이다.

#뼈의 노화가 가장 큰 원인

척추관 협착증은 주로 50대 이후에 나타나며 척추뼈를 비롯한 주변 인대 및 근육의 퇴행화와 더불어 많이 발생한다. 허리를 굽히면 잠깐 동안은 통증이 덜하기 때문에 자꾸 허리를 굽히려 하고, 그러다보면 척추에 무리가 가서 증상이 더 심해지는 악순환이 되풀이된다. 척추관협착증의 가장 큰 원인은 ‘뼈의 노화’이다. 척추는 대나무처럼 안쪽이 비어 있어서 이 구멍을 통해 세로로 신경다발이 지나가는데 이를 척추관이라고 한다. 척추관이 선천적으로 혹은 성장 정도에 따라 정상보다 좁은 경우도 있지만, 대체로 나이가 들어 뼈가 노화되기 시작하면 뼈마디가 자라나기 때문에 척추관이 좁아진다. 이렇게 척추관이 좁아지면 그 부분의 신경이 압박을 받아 통증이 발생할 뿐만 아니라 그 신경이 지배하는 부분에까지 통증이 전달된다.

#척추디스크일까, 협착증일까

척추디스크인지 협착증인지 구별하는 간단한 방법이 있다. 우선 방바닥이나 침대바닥에 바로 누워서 무릎을 편 채 다리를 들어올려본다. 디스크의 경우 엉덩이부터 허벅지 뒤쪽, 장딴지 뒤쪽, 발등 또는 복사뼈가 땅기거나 아픈 데 반해, 협착증은 다리를 들어올리기가 쉽고 대부분 정상각도를 유지하며 제한이 있다고 해도 경미하다.

을지대학병원 정형외과 김환정 교수는 “허리를 굽히면 디스크일 경우 신경이 압박을 당해 고통을 느끼는 반면, 협착증의 경우 신경구멍이 넓어지기 때문에 더 편하거나 통증이 별로 없고 다만 허리를 바로 펴고 서서 걸을 때 불편하다”고 설명하고 “때문에 디스크 환자는 탄력이 별로 없는 단단한 요에서 편안함을 느끼는 반면에 척추관협착증 환자는 몸이 푹 빠지고 허리가 구부러지는 침대에서 엉덩이와 무릎을 구부린 채 자려는 경향이 있다”고 덧붙인다.

또한 다리가 저린 증상을 두고 혈관성 질환으로 오해하는 경우도 종종 있다. 감별방법으로는 걷거나 작업을 하다가 다리가 저릴 경우 다만 동작을 멈춘 채 서있기만 해도 증상이 호전되는 경우는 혈관성 질환이며 쪼그려 앉아야만 호전되는 경우는 척추관협착증으로 볼 수 있다.

#나쁜 자세가 병을 키운다

척추관협착증은 대부분 나쁜 생활습관으로 인해 증세가 더 심해진다. 가장 문제가 되는 습관은 주부들이 가사일을 하면서 바닥에 앉아 구부정하게 허리를 구부리고 작업을 하는 것이다. 이런 동작이 반복되면 척추관절이 밀려 퇴행성 변화가 나타난다. 따라서 일할 때 되도록 의자에 앉거나 똑바로 서서 허리를 곧게 펴는 자세를 취할 필요가 있다.

뿐만 아니라 과체중도 척추뼈를 밀어내는 부작용을 낳을 수 있으므로 꾸준한 운동을 통해 체중을 조절하고 신진대사와 근력을 키우는 것도 중요하다. 걸을 때도 배를 앞으로 내민 자세는 금물이다. 무게 중심이 몸 앞쪽으로 약간 쏠리는 듯한 느낌으로 자세를 잡고 천천히 걷도록 한다.

#반 윗몸일으키기, 수영, 걷기 등이 도움

반 윗몸일으키기가 도움이 된다. 똑바로 누워서 무릎을 세우고 허리는 바닥에 대면서 골반을 약간 들어올린 상태에서 윗몸을 반쯤만 일으킨 후 10초간 유지하다가 바로 눕는 동작을 10회 정도 반복한다. 또는 두 손으로 무릎을 잡고 당기면서 윗몸도 반쯤 일어나 무릎과 가슴이 닿도록 하는 동작도 여러번 되풀이한다. 그런가 하면 똑바로 누워서 무릎을 세운 후 양 다리를 교대로 폈다가 접는 동작도 도움이 된다.

척추의 퇴행성 변화를 늦추는 데는 걷기와 수영이 좋다. 수영은 물이 가슴까지 잠기는 곳에서 천천히 걷는 것으로 시작해 어느 정도 익숙해지면, 한쪽 손을 뒤로 올린 뒤 팔꿈치 부분을 반대쪽 손으로 잡은 자세로 걷는다. 걷기는 평지나 낮은 산을 택해 하루 30분씩 걸으면 좋다. 유산소 운동으로는 자전거 타기가 좋다.

#보존요법보다는 수술로 근본적인 치료를!

진단은 단순 방사선 검사나 척수조영술, CT(컴퓨터 단층촬영), MRI(자기공명영상)로 가능하다.

척추관협착으로 진단이 되면, 일반적으로 운동이나 약물요법 등의 보존 요법들은 요추관 협착증을 일시적으로 좋게 할 뿐 근본적으로 그 해부학적 상태를 변화시키거나 구멍을 충분히 넓혀줄 수는 없다.

수술만이 좁아진 척추관을 넓히고 뒤틀린 척추마디를 고정시켜 빠른 쾌유를 도울 수 있다. 그러나 대부분 노인 환자들은 전신마취에 대한 두려움 때문에 수술을 꺼리는 경향이 있다. 하지만 이를 그대로 방치한다면 신경의 심각한 손상은 물론 수술시기를 놓쳐 수술을 받더라도 재활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김교수는 “고령인 경우 허리의 통증도 문제지만 이로 인한 근력 약화, 골다공증, 심폐기능 약화, 배뇨장애 등의 합병증이 더 심각한 문제”라고 지적하고 “통증 때문에 서서 걷기가 힘들어 자꾸만 앉거나 누워 있으면, 간접적으로 심폐 기능에 영향을 미쳐 수명이 단축될 수 있다”는 말로 조기 치료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경향신문



*진료예약 홈페이지: 척추관절전문 포항사랑병원(http://www.saranghospital.or.kr)
*진료예약 및 문의전화: 054-277-3311-5

댓글 없음: